본문 바로가기
짠테크

오피스텔 전세 계약 후기 / 절차 / 중요 뽀인트!

by saltone 2021. 11. 29.
반응형

오피스텔 전세 구할때 여러 블로그 유투브에서 정보를 많이 얻었습니다.
검색 뽀인트로 그때그때 중요한 정보를 득했는데요

전체적으로 정리할수 있는 내용을 저도 공유해봅니다. 항목에 맞는 자세한 정보는
다른곳에서 더 얻으시면 될거같습니다.

1. 자금확보 ⇒ 2. 매물찾기 / 선정 ⇒ 3. 가계약 입금 ⇒ 4. 계약서 작성 /계약금입금 ⇒ 5. 입주/전입신고(잔금입금)

1. 자금 확보
전세를 얻으려면 일단 내가 어느정도 자금이 융통 가능한 돈을 먼저 확보를 해야 그에 맞는 집을 구할수 있으니 먼저 확인!
* 전세자금 대출이 필요하시면 그전에 어느정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주거래 은행, 정부 지원대출 등 상담을 통해서 하는걸 추천)

2. 매물찾기 / 선정
* 앱을 활용한 시세 및 매물 확인! ⇒ 전 네이버부동산 앱 / 직방 두개 교차로 봤습니다.

* 앱을 활용 해보셨으면 주변 거리나 분위기를 보시고, 직접 집도 보기 ⇒ 제가 생각한 분위기랑 같아야겠쥬?

* 매물 찾을 때 확인 사항
- 신축오피스텔 : 신탁등기(소유권자가 등기부등본과 다를수 있으니 확인) 확인 필요, 인근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등 온라인으로 만원이상들며 직접가서 뗄경우 1800원정도로 차이 있으니 참고
- 보증보험 가능 여부 : 공시금액, kbt시세 기준 150% 보장
- 전세대출 가능여부 : 가끔 안된다고 하는 매물이 있음
※ 참고로 최근 임대사업자는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해야만 함
※ 오피스텔의 공시지가 확인 : 홈택스 - 조회발급 - 기타조회 - 기준시가조회 - 상업용건물/오피스텔
- 오피스텔 용도 : 주택용인지, 업무용인지 확인 필요

* 전 전세 구할때 현재 시세 확인 결과 역전세(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더 높다!)인 상황, 게다가 임대사업자 매물이 시세가 보다 8천만원 정도 싸서 매일 모니터링 해서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사업자 매물을 겟했습니다.(만약 생각있으시면, 매일 모니터링 하시고 가끔 훅나왔다 훅사라져요, 바로바로 전화해야 가능하더라고요;;) 아예신축은 뺐어요, 불안해서요;


3. 가계약금 입금(통상 5%)
* 확인사항
- 가계약시 등기부등본 확인 필수 → 갑구부분 소유자=계좌주, 을구 부분 담보확인
- 계약서 작성할 날짜 픽스

4. 계약서 작성/ 계약금 입금(통상 10%, 가계약금 제한 금액)
- 등기부등본 다시 확인 → 갑구 을구 변동사항 확인, 집주인 신분증 다시 확인
- 대출을 받으실분은 계약금 영수증 꼭받으셔야 하고, 주민센터로 가서 확정날짜를 받으셔야 대출이 가능합니다!

5. 입주 / 전입신고
- 잔금처리, 하루전에 신고하세요 보통 다음날 처리됩니다.
입주전  집 하자있는지  보고 이상있으면 사진찍어서 부동산과  공유!

그럼 다음단계는 부동산  수수료   지급  법적0.4프로가  상한선이니
조율해서 지급(부동산이 일반 과세자면   부가세 달라할수있어요
요건 홈택스에서  조회발급 -사업자상태확인-사업자등록번호로 조회가능하고 간이 사업자면 안줘도  됩니다)
드뎌 완료 그러면 다끝!

반응형

댓글